기초연금 부부감액 계산법|2025년 기준 실제 수령액 비교
부모님 두 분 모두 만 65세 이상이 되어 기초연금을 신청하신다면, '부부감액'이 적용됩니다. 많은 분들이 "각자 다 받을 수 있는 거 아닌가요?"라고 질문하시는데, 부부가 동시에 수급할 경우 일정 금액이 자동으로 감액됩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 부부감액 계산 방식과 실제 수령액 비교, 신청 전략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📌 기초연금 기본 개념 정리
- 대상: 만 65세 이상,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
- 지급 주체: 보건복지부 / 국민연금공단
- 지급 시기: 신청한 달부터 월별 지급 (소급 불가)
👉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총정리에서 정확한 조건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.
✅ 왜 부부감액이 적용되나요?
정부는 가구 단위의 생계 보장을 전제로 기초연금을 지급합니다. 부부가 모두 수급 대상이면, 같은 가구 내에서 중복 지급을 방지하기 위해 감액 기준이 적용됩니다.
📉 부부감액률은 얼마나?
- 각 수급자의 기준연금액의 20% 감액 적용
- 즉, 단독 수급자가 최대 40만 1,870원을 받을 수 있다면 → 부부는 각자 약 32만 원 정도
💰 2025년 실제 수령액 비교
구분 | 수령액 (1인 기준) | 비고 |
---|---|---|
단독 수급자 | 401,870원 | 최대 금액 기준 |
부부 수급자 | 약 321,500원 | 20% 감액 적용 |
부부 합산 | 약 643,000원 | 총액 기준 |
✔ 감액은 자동 적용되며,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계산되어 지급됩니다.
💡 부부감액 회피 가능한가요?
가끔 "부부라도 따로 주소 두면 되나요?"라는 질문을 받습니다. 하지만 실제 생계 및 가구 분리가 인정돼야 별도 가구로 산정됩니다. 단순 전입신고만으로는 인정받기 어렵습니다.
예외 인정 조건
- 별도 주소지 + 실질적 생계 분리
- 부부관계 단절, 장기 별거, 요양시설 입소 등
➡ 이런 경우 '개별가구'로 간주되어 단독 수급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📊 부부감액, 꼭 손해일까?
단독 수급자보다 1인당 수령액은 적지만, 부부 합산 시엔 오히려 가구 전체 수령액은 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.
예를 들어, 단독으로는 한 분만 40만 원 수급 가능하나 → 부부감액 적용 시 두 분이 약 64만 원까지 받게 됩니다.
🔎 계산기 활용해서 사전 검토하기
복지로 홈페이지에서는 기초연금 모의계산기를 통해 실제 수급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📣 마무리하며
부모님 두 분 모두 기초연금 대상자라면, 부부감액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꼭 확인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. 단순히 감액만 강조할 게 아니라, 가구 전체 수령액을 고려하는 게 중요합니다.
'💰 정부 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세 50만원 이하 자취방, 정부지원으로 얼마나 돌려받을까? (1) | 2025.07.20 |
---|---|
2025년 소상공인 대출 상환 유예 정책 총정리|상환 기간 연장 및 고금리 대출 전환 (0) | 2025.07.15 |
교통비 아끼는 법|2025 정기권·지원금 활용법 (1) | 2025.07.14 |
2025 새출발기금 신청 후기|소상공인 채무조정 실사례 (0) | 2025.07.13 |
2025년 교통비 지원 총정리|청년·저소득층 대상 혜택 모음 (1) | 2025.07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