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📌 국민연금 추후납부란?
국민연금 추후납부(추납)란 과거에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았던 기간에 대해, 본인이 원할 경우 나중에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.
주로 수급요건을 채우기 어려운 사람, 또는 연금 수령액을 늘리고 싶은 사람이 선택하는 방식이며, 2025년에도 신청 조건과 계산 방식이 바뀌진 않았지만 주의사항은 꼭 확인해야 합니다.
✅ 2025년 추후납부 신청 조건
- 과거 국민연금 미가입자 또는 임의가입 중 납부하지 않았던 기간이 있을 것
- 현재 국민연금 가입자(또는 임의가입자)여야 함
- 과거 납부예외 기간, 실직·휴직 등으로 납부 안 한 기간도 가능
※ 단, 추납이 가능한 기간은 2008년 1월 이후의 납부예외 기간에 한정됨.
💰 추후납부 보험료는 얼마?
추납 보험료는 신청 시점 기준 소득월액 × 보험료율(9%)로 계산됩니다.
예를 들어 현재 소득이 월 250만 원이라면, 월 약 22.5만 원씩 납부하게 됩니다.
📌 총 납부금액 계산 예시
- 미납 기간: 12개월
- 현재 소득: 월 250만 원
- 추납 보험료: 250만 × 9% = 22.5만 원
- 총 납부액: 22.5만 원 × 12개월 = 약 270만 원
📍 추납 가능한 기간은?
추납은 최대 120개월(10년)까지 가능하며, 반드시 과거 납부예외 사유가 있었던 기간만 선택해야 합니다.
과거 직장가입 시 납부누락이나 고의 미납은 인정되지 않습니다.
📑 신청 방법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 방문
- ‘추후납부 신청’ 메뉴 선택
- 납부기간·소득·금액 확인 후 신청
- 고지서 수령 후 납부
📌 추납 전 반드시 확인할 점
- 일시금 납부 가능 (전액 선납 가능)
- 분할 납부 가능 (최대 60회 분할)
- 납부 후 환불 불가, 신중히 결정 필요
- 추납 보험료도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
📌 함께 보면 좋은 글
✅ 마무리
국민연금 추납은 잘만 활용하면 연금 수령액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전략이 됩니다. 다만, 현재 소득이 높을수록 추납 비용이 많아지므로 분할납부 및 절세 전략을 함께 고려하세요.
반응형
'📈 세금·재테크·소비 전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업급여 받는 중 알바하면 불이익? 2025년 기준 총정리|소득신고·시간제 기준까지 (0) | 2025.07.04 |
---|---|
2025 국민연금 개편안 총정리|보험료 인상·소득대체율·수급연령 전면 정리 (0) | 2025.07.03 |
2025 하반기 달라지는 노동정책 10가지|알바·워킹맘 필독 가이드 (1) | 2025.07.03 |
청년 신용회복제도 2025|연체했는데도 대출 가능할까? (1) | 2025.07.03 |
2025년 실손보험 청구 간편화 전략|앱으로 5분 컷 (1) | 2025.07.02 |